” 알아야 면장(免牆)을 하지.”

우리가 일상으로 사용하는 말 가운데그 의미를 정확히 알지 못한 채 습관적으로 사용하는 용어가 적지 않습니다.

우리가 흔히 사용하는 말 가운데 “알아야 면장을 하지”라는 말도 바로 그런 말 중의 하나로 압니다.

사전(辭典)적으로 풀어보면 ”어떤 일이든 그 일을 하려면 그것에 관련된 학식이나 실력을 갖추고 있어야 함” 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입니다.

그런데 많은 사람들이 ”면장”을 동장, 읍장, 시장 등 행정기관의 장으로 알고 있는 분들이 많다는 것입니다.

이 속담은 행정기관의 면장(面長) 하고는 아무런 관계가 없는 말이고 공자와 그의 아들 백어와의 대화에서 유래한 것이란 유래를 근래 한 책을 통하여 알게 되었습니다.

공자가 백어에게 이르기를 “너는 주남

(周南)과 소남(召南)을 배웠느냐? 사람이 되어서 주남과 소남을 배우지 않으면 바로 담장(牆)을 정면(正面)

으로 마주하고 있는 것과 같은 것이다” 라고 한 것에서 유래되었답니다.

주남과 소남은 시경(詩經)의 편명

인데 모두가 자기 몸을닦고 집안을 다스리는데 유익한 일상생활의 기본지침으로 이루어져 있답니다.

공자는 아들에게 주남과 소남을

모르는 것이 마치 담장을 정면으로

마주하고 서서 지극히 가까운 곳에

나아가지도 못하고 한 물건도 보이는것이 없고 한 걸음도 나아가갈 수 없다고 한 것과 같은 맥락입니다.

어떻든 벽을 향해서 서있는 암흑의

세계를 형용하는 말이 바로 장면

(牆面)이고, 이런 꼴을 “면(免)한다”는 말이 바로 “면장(免牆)” 이랍니다.

무엇인가 부지런히 배우고 익혀야 답답함을 면할 수 있다는 공자의 말씀에 유추하여, “알아야 면장을 하지”란 속담이 나온 것이랍니다. “알아야 꽉 막힌 담장을 피할 수 있지”라는 뜻입니다.

*  아주 단순한 이야기였습니다.

너무나 기본적인 상식에 가까운

이야기이지만, 그 기본 참뜻을 알지 못하고 사용하게 되면 오해와 착오를 범할 수도 있다는데서 경고와 같은 이야기가 될수 있어 이곳에서 전합니다.